학습유형진단도구 및 기록지 DOWNLOAD

[자가분석] 학습유형 자가진단(3/3) by Solomon/Felder

학습유형진단과 전략
1) 적극적인 학습자와 숙고하는 학습자
  • 적극적인 학습자는 활발하게 정보를 이용하여 무언가를 행함으로써, 예컨대 토론하거나 제안하거나 혹은 다른 이들에게 그것을 설명함으로써, 정보를 가장 잘 기억하고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다. 숙고하는 학습자는 우선 조용히 그것에 대해 생각하길 좋아한다.
  • “한 번 해보고 어떻게 되는지를 보자”가 적극적인 학습자의 말씨이다
  • “우선 곰곰이 생각해보자”가 숙고하는 학습자의 응답이다.적극적인 학습자는 혼자 일하는 것을 선호하는 숙고하는 학습자보다 그룹 작업을 더 좋아하는 경향을 보인다.
  • 육체적으로 무언가를 하지 않고 필기하며 강의 내내 앉아 있는 것은 두 학습 유형 모두에게 힘들지만 특히 활발한 학습자에게 고역이다

모든 사람은 때때로 활발하고 때때로 심사 숙고적이다. 거의 대부분의 사람은 한 유형에 대한 선호도가 강할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두 가지 유형을 균형 있게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만일 항상 심사숙고하기 전에 행동하는 사람은 조급하게 뛰어들어 문제점을 갖게 될 수도 있다. 반면에 너무 많은 시간을 생각하는 데 보내면 어떠한 것도 완성하지 못할 지도 모른다. 교수자는 학생들이 선호하는 유형을 반영한 교수방법도 고려해야 하며 학생들에게 부족한 부분을 길러줄 수 있는 교수방법 사용도 중요하다.

2) 감각적인 학습자와 직관적인 학습자
  • 감각적인 학습자는 사실을 있는 그대로 배우려는 경향을 보이고, 직관적인 학습자는 가능성과 관련성 발견을 선호한다.
  • 감각적인 학습자는 종종 잘 수립된 방법으로써 문제점을 해결하길 좋아하고 귀찮은 문제와 뜻밖의 놀라운 것은 좋아하지 않는다. 직관적인 학습자는 혁신을 좋아하고 되풀이를 좋아하지 않는다. 감각적인 학습자는 직관적인 학습자보다 더, 강의에서 명백하게 다루어지지 않은 자료에 대한 테스트에 분개하는 편이다.
  • 감각적인 학습자는 세부 사항에 인내심이 강하고 사실을 잘 암기하고 실습에 능한 편이다. 직관적인 학습자는 새로운 개념을 더 잘 이해하고 종종 감각적인 학습자보다 더 추상적인 것과 수학적 형식에 더 편안함을 느낀다.
  • 감각적인 학습자는 직관적인 학습자보다 더 실용적이고 섬세한 경향을 보인다. 직관적인 학습자는 감각적인 학습자보다 더 빠르게 일 처리하고 더 혁신적 경향을 띤다.
  • 감각적인 학습자는 현실 세계와 명백하게 연결되지 않는 강좌를 좋아하지 않는다. 직관적인 학습자는 많이 암기하고 틀에 박힌 계산이 포함된 강좌를 좋아하지 않는다.
학습유형
감각적 학습을 선호하는 학생 직관적 학습을 선호하는 학생
  • 시각,촉각,청각 등 감각 정보에 집중한다.
  •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보려 한다.
  • 사실과 데이터를 원한다.
  • 표준 방식대로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 세세한 내용을 참을성 있게 대한다.
  • "실생활"과 무관한 강의를 싫어한다.
  • 시간 제한이 있는 시험을 싫어한다.
  • 아이디어,기억,가능성 등 직관적 정보에 집중한다.
  • 의미를 찾으려 한다.
  • 이론과 모델을 원한다.
  • 다양성을 좋아하고 반복을 싫어한다.
  • 세세한 내용을 따분해 한다.
  • 원리원칙대로의 강의를 싫어한다.
  • 어떤 종류의 시험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조벽(1999), 세시대교수법

모든 사람은 때때로 감각적이고 때때로 직관적이다. 학습자와 문제 해결사로서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두 방법 모두로 작용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만일 직관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사람은, 중요한 세부사항을 놓치거나 계산이나 실습에 있어서 부주의한 실수를 할 가능성이 있다. 만일 감각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사람은 암기와 익숙한 방법에 너무 많이 의존하게 될지도 모르고 이해하고 혁신적으로 생각하는데 충분히 집중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감각적 학습을 선호하는 학생은 귀납적 학습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직관적 학습을 선호하는 학생은 연역적 학습을 선호하는 학생인 경향이 높다.

학습유형
귀납적 학습을 선호하는 학생 연역적 학습을 선호하는 학생
  • 자료를 관찰하고 나서 규칙과 원리를 도출한다.
  • 학습동기가 필요하다.
  • 귀납이 배우는 스타일이다.
  • 규칙과 원리로 시작해서 그 결과와 현상에 적용한다.
  • 탐구열이 필요하다.
  • 연역이 쉽고 효과적인 강의 방법이다.


감각적인 학습자는 정보가 어떻게 현실 세계와 연결되는지 알 수 있을 때 정보를 가장 잘 기억하고 이해할 것이다. 만일 자료 대부분이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강의를 듣고 있다면, 감각적인 학습자는 어려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교수자는 개념과 과정의 특수한 예를 제시해주어야 한다. 그러면 그 개념이 어떻게 실제로 적용되는지를 알 것이다. 만일 특수한 예를 충분하게 제공하지 않는다면, 강의 교과서 혹은 다른 참고 문헌에서 혹은 소집단 활동을 통해 아이디어 회의를 하게 함으로써 학습자가 어느 정도 발견할 수 있도록 과제를 내 줄 수도 있다. 많은 대학 강의는 직관을 지향한다. 직관적인 학습자는 암기나 기계적인 공식 대입과 같은 강의내용에는 금방 지루해 하는 편이다. 그들은 사실과 결합된 해설 혹은 이론을 선호하는 편이다. 그들은 세부 사항에 대해 인내심이 없고 되풀이(완료된 해답을 검사하면서) 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시험에서 부주의한 실수를 범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직관적인 학습자는 답하기 시작하기 전에 질문 전체를 읽는 데 시간을 들이고 결과를 확실히 검토하도록 권해야 한다.

3) 시각적인 학습자와 언어적인 학습자

시각적인 학습자는 그들이 본 것--그림, 도표, 흐르는 듯 보여주는 차트, time lines, 필름, 실험을 가장 잘 기억한다. 언어적 학습자는 말--문어적 그리고 구어적 설명으로 된 것을 더 잘 습득한다. 모든 사람은 정보가 시각적으로 그리고 언어적으로 두 방법으로 제공될 때 더 잘 학습한다.

학습유형
시각적 학습을 선호하는 학생 언어적 학습을 선호하는 학생
  • 그림,도표,차트,구성,지도,보여주기 등을 선호한다.
  • 칠판에 쓰거나 말로 하는 것을 선호한다.

조벽(1999), 세시대교수법

대부분의 대학 강의에서는 시각적인 정보는 거의 제공되지 않는 편이다. 학생들은 주로 강의를 듣고 칠판과 교과서와 인쇄물에 쓰여진 자료를 읽는다. 훌륭한 학습자는 시각적이거나 언어적으로 제시된 정보를 모두 처리할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학생은 시각적 표상에 더 효율적인 학습을 하는 경향이 있다. 시각적인 학습자는 언어적인 도표, 스케치, 모형도, 사진, 흐르는 듯 보여주는 차트, 혹은 강좌 자료의 다른 시각적 표상을 선호하고 비디오 테이프 보는 것을 선호한다. 요점을 목록으로 정리하고 박스나 원 안에 넣고, 개념들 간의 연관성을 보여주기 위해 개념 사이에 화살표로 선을 그은 개념도를 준비한다면 시각적인 학습자들은 만족스러운 학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주제와 관련된 모든 것이 같은 색을 띠게 하고 관련이 없는 주제는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언어적 학습자에게는 자신의 표현으로 강좌 자료의 요약 혹은 개요를 쓰게 할 수 있다. 그룹활동은 특히 효과적일 수 있는데 그룹 내 동료학생의 설명을 들음으로써 자료를 이해할 수 있고 학습자 스스로 설명할 때 더 잘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4) 순차적인 학습자와 총체적인 학습자
  • 순차적인 학습자는 전 단계로부터 국지적으로 따라오는 각각의 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단계로 이해하는 경향을 보인다. 총체적인 학습자는 연관성을 보지 않고 거의 마구잡이 식으로 자료를 흡수하고 그리고 나서 갑자기 “터득”하는, 매우 비약적으로 학습하는 경향을 보인다.
  • 순차적인 학습자는 해답을 찾을 때 한 걸음씩 국지적으로 경로를 따르는 경향을 보인다. 총체적인 학습자는 복잡한 문제를 빨리 풀거나 일단 큰 그림을 파악했다면, 색다른 방법으로 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떻게 그렇게 했는지 설명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를 수도 있다.
학습유형
적극적 학생 반사적 학생
  • 일직선으로 한 단계씩 연계된 방식으로 배움
  • 부분적 정보로도 일을 할 수 있다
  • 분석을 잘한다
  • 큰 덩어리로 연결된 거방식으로 배움
  • 부분적 정보로는 일을 못한다. 처음에는 굼뜨고 시험도 못 보는 것처럼 보이며,일찍 이해를 못하면 학습을 포기한다
  • 통합을 잘한다

조벽(1999), 세시대교수법

순차적인 학습자는 그들이 받아들였던 부분들은 논리적으로 연관성을 띠기 때문에, 자료를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무언가를 행할 수 있다 (과제를 풀거나 시험을 통과하는 것). 연속적 사고 능력이 부족한 매우 총체적인 학습자는 반면에 커다란 그림이 그려질 때까지 심각한 어려움을 느낄지도 모른다. 그들이 그림을 그린 후에라도 과제의 세부 사항에 대해 혼란스러워 할 지도 모른다. 반면에 순차적인 학습자는 과제의 특수한 양상에 대해 많이 알 수 있지만 같은 과제의 다른 양상 혹은 다른 과제와 그것을 연관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을지도 모른다. 대부분의 대학 강좌에서는 연속적인 방법으로 강의 된다. 만약 교수자가 주제나 단계를 뛰어넘는다면, 순차적인 학습자인 경우에 강의를 따라가거나 기억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따라서, 뛰어넘은 단계를 보충할 수 있도록 참고 문헌을 알려주어 스스로 보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강의 내용을 논리적인 순서로 정리하는 것을 순차적인 학습자는 선호한다. 새로운 주제로 넘어갈 경우에는 이미 배운 내용과 연관 지어 보여주게 되면 순차적 학습자는 주제에 대한 이해력이 더 깊어질 것이다. 총체적인 학습자는 세부 사항을 완전히 파악하기 전에 과제의 커다란 그림을 보여주어야 한다. 새로운 주제에 대하여 학생이 이미 알고 있는 것과 어떻게 연관되는 지 설명하지 않고 새 주제로 들어간다면, 총체적 학습자는 어려워할 수 있다. 빠르게 커다란 그림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교재 첫 장의 다섯 절을 공부하기 전에, 개관을 파악하기 위해 모든 장을 대강 훑는다. 그렇게 하면 처음에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나중에 개별 부분으로 몇 번이고 돌아가는 수고를 덜어줄 것이다.

즐겨찾기메뉴

QUICK MENU
강의촬영지원
센터갤러리
관련사이트
Q&A
TOP